본문 바로가기
커피

커피의 품종 알아보기, 아라비카 vs 로부스타

by 골든카펫 2024. 1. 25.
반응형

커피의 품종

1. 아라비카와 로부스타의 비교

 

아라비카는 로부스타에 비해 향이 뛰어나며 신맛, 쓴맛, 단맛 등을 지니고 있는 반면, 로부스타는 향이 약하고 쓴맛이 강하고 카페인 함량도 많은 편이나, 재배가 아라비카에 비해 용이하다.

아라비카 로부스타

2. 아라비카의 품종

 

1) 티피카 Typica

 

아라비카 원종에 가장 가까운 품종으로 콩은 긴 편이고 좋은 향과 신맛을 가지고 있으나 커피잎 녹병에 취약하다. 블루마운틴, 하와이 코나가 대표적인 티피카 계통이다.

 

2) 버번 Bourbon

 

1715 프랑스가 예멘에서 모카 품종 나무를 가져와 아프리카 동부 인도양에 위치한 부르봉(Bourbon) 섬 레위나옹(, Reunion)에 이식한 데서 유래한 품종으로 커피의 품질은 뛰어난 편이나 모든 중요 커피 질병에 취약하며 티피카(Typica)에 비해 작고 둥글고 단단한 편이다. 센터 컷이 S자 모양을 하고 있다.

 

수확량은 티피카보다 20~30% 많으나 크기가 작은 편으로 빈틈없이 빽빽하게 열린다. 중미, 브라질, 케냐, 탄자니아 등지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버번의 종류로는 크게 단맛이 뛰어난 옐로우 버번, 향미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오렌지 버번종이 있다.

 

3) 카투라 Caturra

 

1937년 브라질에서 발견된 레드 버번(Red Bourbon)의 돌연변이종으로 콩의 크기는 소형이며 수확량은 많다. 풍부한 신맛과 약간의 떫은맛을 지니며 나무의 키는 작은 편이고 마디 사이가 짧다.

 

주요 질병과 해충에 취약하며 잎과 열매의 특성은 버번(Bourbon)과 유사하다. 집중적 관리가 필요하며 3~4회 수확 후 과잉 결실(Over-bearing) 현상과 견고하지 못한 특성 때문에 브라질에서는 환영받지 못했다.

 

코스타리카 환경에 더 잘 적응했으며 밀식이 가능(5,000~10,000그루/ha)하다.

 

4) 문도 노보 Mundo Novo

 

버번(Bourbon)과 티피카(Typica) 수마트라(Sumatra)의 자연 교배종으로 1931년 브라질 상파울루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1950년부터 브라질에서 재배되기 시작되어 현재는 카투라, 카투아이와 브라질의 주력 재배 품종이다.

 

환경 적응력이 좋고 티피카와 버번의 중간적 형태로 콩의 크기가 다양하고 신맛과 쓴맛의 밸런스가 좋으며 맛은 재래종과 비슷하다. 버번보다 생산량이 30% 많으나 성숙 기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나무의 키가 3m 이상으로 매년 가지치기를 해야 하며 재배 밀도는 낮다.

 

 

5) 수마트라 Sumatra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섬에서 발견된 것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수마트라섬이 원산지이다. 콩의 모양은 가늘고 길며 각진 모양을 하고 있으며 묘목의 성장 속도가 빠르나 보급률이 낮아 재배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6) 켄트 Kent

인도의 고유 품종으로 높은 생산성을 지니며 커피잎 녹병(Coffee Leaf Rust)에 강하다.

 

7) 티모르 HdT

아라비카와 로부스타의 교배종(Hibrido de Timor)으로 커피 잎 녹병CLR) 에 강하고 콩의 크기가 큰 편이다.

 

8) 카티모르 Catimor

티모르 HdTCaturra의 교배종으로 성장성과 다수확을 자랑하며 체리 크기가 큰 편이다.

 

9) 콜롬비아 Colombia

 

콜롬비아에서 1971년부터 개량 착수하여 1981년 콜롬비아 종이라 명했으며 지금은 콜롬비아 대다수 농가에서 재배하고 있는 종으로 카투라(Catura) 하이브리드 티모르(HdT)종의 교배종이다.

 

10) 마라고지페 Maragogype

 

1870년 브라질의 한 농장에서 발견된 티피카(Typica)의 돌연변이 품종으로 콩의 크기가 크며 나무의 키가 크고 생산성은 낮다.

 

11) 카투아이 Catuai

 

문도 노보(Mundo Novo)의 카투라(Caturra)의 교배종으로 나무 키가 작고 병충해와 강풍에 강하며 생산성은 높다.

매년 생산이 가능하며 생산 기간이 타 품종에 비해 10여년 정도 짧은 것이 단점이다.

 

12) 파카스 Pacas

 

1949년 엘살바도르에서 발견된 버번의 돌연변이종으로 이후 1958년 파카스와 마라고지페의 교배종인 파카마라(Pacamara)종으로 개발되었다.

 

13) 게이샤 Geisha

 

1931년 에티오피아에서 획득한 품종을 1931~1932년도에 케냐로 보내게 되는데 그때 붙여진 품종의 이름인 아비시안(Abyssinian)종과 게이샤(Geisha) 종이다. 이후 탄자니아(1936), 코스타리카(1953)를 거쳐 파나마에 이식된 것이 지금의 게이샤 종이다.

 

 

 

3. 로부스타의 품종

 

1) 코닐론 Conilon

콩고로부터 유입되어 지금은 브라질 로부스타의 95% 가까운 양이 생산되고 있는 품종이다.

 

2) CxR variety

1976년에 개발된 품종으로 품질이 우수하다.

 

3) BP, SA

1920년도 인도네시아 자바에서 개발된 품종으로 씨앗이나 묘목을 이용하여 파종한다.

 

4) S274, BR

인도의 주요 품종으로 1950년대부터 재배되었으며 씨앗으로 파종한다.

 

5) IF

코트디부아르 주요 로부스타 품종이며 자바와 아프리카 콩고로부터 유입되어 재배가 이루어졌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