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피

커피의 쓴맛, 그 이유와 특징

by 골든카펫 2024. 1. 19.
반응형

커피의 쓴맛

쓴맛은 키니네에서 주로 나타나는 맛으로 싫어하는 맛은 아니며 쓴맛이 전혀 없는 커피는 아무런 개성표현이 없어 밋밋한 느낌을 주게 된다.
 

1)  쓴맛을 나타내는 일반 성분

 

① 알칼로이드

식물체에 존재하는 염기성 함질 소물질의 총칭으로써 인체 내에서 특수한 약리 작용을 가지며, 카페인(Caffeine)이 대표적이다.

② 배당체

식물체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야채, 과일의 쓴맛 대부분은 배당체에 의한 것이다.

③ 케톤류 Ketone

Hop 암꽃의 쓴맛성분 후물론(Humulone)으로 맥주의 쓴맛 성분이다.

④ 무기염류

무기염류를 구성하고 있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직경과 관계있는데 직경이 클수록 강한 쓴맛을 낸다.

2)  커피의 쓴맛 성분

 

① 카페인 Caffeine

푸린(Purine) 염류에 속하며 카페인에 의한 쓴맛은 전체의 10% 정도지만 재배지, 품종에 따라 함량 차이가 크며 씨앗뿐만 아니라 잎에도 소량 함유(나무껍질과 뿌리에는 없음)되어 있다.
카페인은 열에 안정적이어서 130℃ 이상이 되면 일부는 승화하지만 쓴맛을 가지고 있다. 쓴맛의 역할은 단지 다른 맛의 강도를 조절할 뿐이며 질이 낮은 커피나 다크 로스트 커피에서 쓴맛이 지배적으로 느껴진다.

 
② 트리고넬린 Trigonelline

카페인의 약 25%의 쓴맛을 내며, N-methyl betaine(퀴놀린 산)이라고도 하며 커피뿐만 아니라 어패류와 홍조류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아라비카종이 다른 종보다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다. 열에 불안정하여 로스팅이 진행되면 거의 분해되어 급속히 감소하고 커피에 탄 냄새(Nicotinic Acid, 메틸 니코틴산아마이드 N-methylnicotinamide)를 나타낸다.

 
③ 클로로젠산 Chlorogenic Acid

pH 5일 때 농도 0.4%부터 쓴맛을 느낀다. 클로로젠산의 분해는 로스팅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며, 피리딘을 포함한 분해 물질들은 커피의 고소한 향기의 생성에 기여한다.

 
④ 퀴닉산 Quinic Acid

클로로젠산의 분해 생성물로 농도의 20배나 함유되어 있으며 부분적으로 커피의 쓴맛을 나타낸다.

 
⑤ 퍼퓨릴 알코올 Furfuryl Alcohol

커피의 탄내와 쓴맛을 나타낸다.
 

3) 쓴맛 Bitterness의 특징

쌉싸름한 커피

 
① 쓴맛은 혀의 뒤 부위에 있는 맛 세포에서 주로 인지되며 커피에 들어있는 가용성 고형분에 따라 차이가 있다.
② 커피의 쓴맛은 커피의 추출과 연관되며 커피의 추출 시간은 볶음도, 수분 함량, 물의 온도, 추출 시간 분쇄 입도 그리고 추출 방법에 의하여 달라진다. 쓴맛이 강해지면 커피의 맛을 억제하여 나쁜 영향을 준다.
③ 커피의 쓴맛이 강해지면 신맛은 감소한다.
④ 낮은 온도의 물보다 높은 온도의 물로 추출할 때 쓴맛을 상쇄하는 커피 향기 성분이 많아져서 쓴맛이 낮아진다.
⑤ 쓴맛은 증류수보다 연수(Soft Water)나 경수(Hard Water)로 추출 할 때 감소한다.
⑥ 폴리페놀 성분이 증가하면 카페인의 쓴맛은 약해진다.
⑦ 쓴맛은 설탕, 식염, 구연산을 첨가할 때 감소하며, 커피 콜로이드 물질도 일반적으로 쓴맛을 감소시킨다.
⑧ 로부스타 커피는 쓴맛과 떫은맛의 원인이 되는 카페인과 클로로젠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⑨ 커피콩의 가공 방법은 커피의 향미 특성에 많은 영향을 주지만 쓴맛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는다.
⑩ 좋은 쓴맛은 입안에서 자극적이지 않고 목에 그 맛이 오래 남지 않는다. 신선하고 적당한 온도에서 추출된 커피에서는 날카로운 쓴맛은 없으나 오래된 커피나 추출 온도, 추출 방법이 적당하지 않으면 날카롭고 자극적인 쓴맛이 목에 남는다.

 

4)  커피의 쓴맛을 줄이는 방법

① 중간으로 볶은 커피콩은 진하게 볶은 콩보다 산도가 강하고 쓴맛이 적다.
② 디카페인 커피는 쓴맛을 약간 감소시키나, “커피답지 못하다‘라고 느껴진다.
③ 여과식 추출법은 프렌치 프레스 등의 침지식 추출법보다 가용성 고형분이 적어서 상대적으로 쓴맛을 적게 느낀다.
④ 굵게 분쇄하면 쓴맛을 줄이긴 하지만 최적의 추출을 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입자로 분쇄해야 한다.

반응형